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북한광산 현황-광산종류.주광종,부광종,(주+부)광종,위치 테이블
수출입
구분
기간
~
정렬기준

※ 출처 : 중국해관총서

조회 결과 : 북한의 중국 수출, 2025년 01월~2025년 06월

광산물(HS CODE 5부)(상위 5위)

광산물(HS CODE 5부)(상위 5위) 테이블
순위 HS CODE 품목명 2025년 06월
수량(톤) 금액(천달러) 비중(%) 단가(달러/톤)
1 2716 전기에너지
331,178
14,293
6.8
43.2
2 2611 텅스텐광과 그 정광
1,545
12,673
6.0
8,201.3
3 2613 몰리브덴광과 그 정광
899
8,660
4.1
9,634.8
4 2609 주석광과 그 정광
3
22
0.0
6,699.4
스크롤

※ 본 통계에서는 '광산물'을 HS CODE 상의 25류(토석류, 소금), 26류(광, 슬랙, 회), 27류(광물성연료, 에너지)의 합인 5부(광물성 생산품)로 전제 아연괴, 전기동 같은 가공제품은 대상에서 제외

※ '비중'은 해당 품목이 전체 반출금액 또는 반입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 전기에너지는 수량(mWh), 단가($/mWh)

참고 : 기타 귀금속 및 가공제품(상위 5위)

참고 : 기타 귀금속 및 가공제품(상위 5위) 테이블
순위 HS CODE 품목명 2025년 06월
수량(톤) 금액(천달러) 비중(%) 단가(달러/톤)
1 7202 페로얼로이
17,401
12,121
5.8
696.6
2 7117 모조 신변 장식용품
253
833
0.4
3,297.0
3 7206 잉곳 등
2,500
662
0.3
264.6
4 7203 철광석을 직접 환원한 철제품 등
1,711
407
0.2
237.6
5 7204 철의 웨이스트, 스크랩 등
652
145
0.1
222.5
스크롤

※ 기타 광산물로 판단하기 쉬운 아연괴, 전기동, 선철 등은 광산물을 가공한 것으로, HS CODE상의 7100-8399(귀금속, 철 및 비철금속 가공제품)을 대상으로 함

※ '비중'은 해당 품목이 전체 반출금액 또는 반입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