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서비스안내
사이트맵
I-RENK 북한지하자원넷
모바일메뉴
I-Renk 서비스
서비스소개
남북지하자원협력
북한광산 분포
북한 지하자원 및 광산
북한광산 현황
북한 지하자원 매장량
북한 광산물 생산량
북한 광산물 무역통계
대외 광산물 무역(전체)
전세계 무역실적
국가별 무역실적
남북간 광산물 교역
광산물분야 교역실적
상위 광산물 교역실적
품목별 교역실적
월간 요약
북중간 광산물 무역
광산물분야 무역실적
상위 광산물 무역실적
품목별 무역실적
월간 요약
북한자원 동향
국내외 언론동향
북한 언론동향
북한 학술지동향
자료실
주요광물 개요
보고서
발간물
홈
1차분류
I-Renk 서비스
북한 지하자원 및 광산
북한 광산물 무역통계
북한자원 동향
자료실
서비스 소개
남북지하자원협력
북한광산 분포
북한광산 현황
북한 지하자원 매장량
북한 광산물 생산량
대외 광산물 무역(전체)
남북간 광산물 교역
북중간 광산물 무역
국내외 언론동향
북한 언론동향
북한 학술지동향
주요광물 개요
보고서
발간물
서비스안내
뉴스레터신청
사이트맵
보고서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회복과 재도약
출처
통일연구원(KINU)
조회수
38
저자
정은미
발간연월
2025년 06월
페이지 수
4
원문링크
바로가기
작성일
2025-07-01 15:59:13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회복과 재도약_정은미.pdf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회복과 재도약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단된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의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회복 및 재도약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평화, 공존, 번영의 한반도’라는 새로운 국정 기조 아래 사회문화 교류의 재개가 한반도 평화정착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
출처:
통일연구원(KINU)
이전글
남북한 간 정치·군사적 신뢰회복 조치:화해·협력으로의 전환
다음글
이재명 정부 사회적 대화의 방향: 합의를 넘어 메타합의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