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서비스안내
사이트맵
I-RENK 북한지하자원넷
모바일메뉴
I-Renk 서비스
서비스소개
남북지하자원협력
북한광산 분포
북한 지하자원 및 광산
북한광산 현황
북한 지하자원 매장량
북한 광산물 생산량
북한 광산물 무역통계
대외 광산물 무역(전체)
전세계 무역실적
국가별 무역실적
남북간 광산물 교역
광산물분야 교역실적
상위 광산물 교역실적
품목별 교역실적
월간 요약
북중간 광산물 무역
광산물분야 무역실적
상위 광산물 무역실적
품목별 무역실적
월간 요약
북한자원 동향
국내외 언론동향
북한 언론동향
북한 학술지동향
자료실
주요광물 개요
보고서
발간물
홈
1차분류
I-Renk 서비스
북한 지하자원 및 광산
북한 광산물 무역통계
북한자원 동향
자료실
서비스 소개
남북지하자원협력
북한광산 분포
북한광산 현황
북한 지하자원 매장량
북한 광산물 생산량
대외 광산물 무역(전체)
남북간 광산물 교역
북중간 광산물 무역
국내외 언론동향
북한 언론동향
북한 학술지동향
주요광물 개요
보고서
발간물
서비스안내
뉴스레터신청
사이트맵
보고서
북한의 지적소유권 보호제도 현황
출처
KDB 미래전략연구소
조회수
116
저자
최재헌
발간연월
2025년 05월
페이지 수
3
원문링크
바로가기
작성일
2025-05-22 10:17:14
KDB리포트(2025.5.19) 북한의 지적소유권 보호제도 현황.pdf
북한의 지적소유권 보호제도 현황
○ 요약
◆ 북한은 코로나19 이후 국산화, 재자원화를 강조하면서 기술개발의 촉진을 위해 발명, 저작권 등 관련 법의 정비, 지적 제품 거래소 활성화 등 지적소유권 보호를 강화
◆ 국제 특허·상표 출원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경제제재 등으로 실질적 효과는 미미
◆ 향후 남북 간 산업재산권 및 저작권의 상호 등록 절차 협의 등 지적소유권 관련 교류 활성화 필요
※출처:
한국산업은행
이전글
북한의 자연재해 특징과 인공위성 기술 활용 방안
다음글
러북의 전략적 밀착과 대응 방안
목록